2021/Write-Ups
-
1팀 박지혜 Write-Ups (suninatas_26)2021/Write-Ups 2021. 11. 9. 02:19
써니나타스 26번 문제 http://suninatas.com/challenge/web26/web26.asp 문제를 보면 This challenge is to recover the plaintext from the following ciphertext using frequency analysis: 이 문제는 빈도 분석을 사용하여 다음 암호문으로부터 일반 텍스트를 복구하는 것입니다. 라는 힌트를 제공하고 있다. 빈도분석이란? 암호학에서의 빈도분석(頻度分析, frequency analysis 또는 counting letters)이란 평문과 암호문에 사용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의 출현빈도를 단서로 이용하는 암호해독법을 말한다. 평문 언어의 통계적 특징을 전제로 하여, 암호문만을 사용해서 해독을 진행하기 때문에, ..
-
2팀_송설연_Write-Ups (Suninatas_19)2021/Write-Ups 2021. 11. 9. 00:42
써니나타스에서 포렌식 관련 19번 문제를 풀었습니다. Cypher II : What is it? 0과 1로 가득차있는 문제를 보고 2진수임을 알게되었고, 이 수를 문자로 변형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2진수를 문자로 변형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하여 (https://www.online-toolz.com/langs/ko/tool-ko-text-binary-convertor.html) 위에 적혀있는 2진수를 문자로 변형해보았더니, 이러한 암호로 변환되었습니다. 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무슨 뜻인 지 알 수 없는 알파벳들을 허망하게 들여다 보고있던 중 ZJ가 두 번 반복되는 것을 보고, 치환 암호 중 키 값이 작아서 가장 만만한 암호인 시프트암호를 이용하면 어떨까라는 생 각을 하였고 암호문에 쓰인 ZJ가 영어 문..
-
4팀_최민영 Write-ups (suninatas_3)2021/Write-Ups 2021. 11. 8. 11:03
써니나타스 3번 문제 풀이를 들어가겠습니다. 이 3번 문제는 웹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해당 문제는 한 번 풀고 다시 문제풀이를 위하여 푼 것 으로 풀기까지의 여러 시도는 더보기(접기)에 작성하였습니다.) 문제에서는 "Notic 게시판에 글을 써라"라고 적혀 있습니다. 글을 쓰기 위해 메인-Notic 게시판으로 들어가면 글을 쓰기 위해서 클릭하는 것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게시판이 그런지 확인하기 위해서 Free게시판에 들어가보면 오른쪽 아래에 Write버튼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Notic 게시판에서 글을 쓰기 위해서는 특수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것인데요.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Free 게시판에 존재하는 Write 버튼을 클릭하면 웹페이지 주소는 ' http:/..
-
4팀_최민영 Write-ups (suninatas_15)2021/Write-Ups 2021. 11. 8. 10:22
저는 먼저 포렌식 분야에 포함된 15번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화면에 캡쳐 된 것 처럼 문제를 클릭하면 "음악을 좋아합니까?"란 질문과 함께 아래에 Play the Music 링크가 있었습니다. Play the Music 링크를 클릭하자 노래가 흘러나오도록 화면이 이동 되었는데요. 이 노래를 다운 받기 위하여 소리 설정 옆에 더보기 메뉴를 통하여 다운 받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 메뉴를 누르고 다운로드를 누르게 되면 이렇게 MP3 파일이 다운로드가 됩니다. 문제에서 질문과 함께 힌트로 Auth Key는 파일안에 있다고 주어졌습니다. 이 힌트를 바탕으로 이 MP3파일의 속성에 들어가보면 음악가와 지휘자의 이름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지휘자에 적혀져 있는 문장을 복사하여 이 AUTH KEY ..
-
1팀 남채림 Write-Ups(suninatas_18)2021/Write-Ups 2021. 11. 8. 05:24
1팀 남채림 Write-Ups(suninatas_18) 풀이과정: "cipher i : what is it?" 이것이 무엇인지 해독해 보라는 문구와 함께 숫자들이 나열되어 있다. 나열된 숫자들을 의미 있는 문장으로 변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아스키(ASCII)코드이다. 디지털 데이터를 다룬다는 가정 하에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할 때 흔하게 쓰이는 방법이다. 또한 대부분의 숫자가 65 이상이고(아스키코드는 65이상부터 알파벳과 대치된다.), 결정적으로 모든 숫자들이 127 이하인 것으로 보아 아스키코드임이 확실해 보인다. 위의 변환 표에 따라 나열된 숫자들을 변환하면, "VG9kYXkgaXMgYSBnb29kIGRheS4gVGhlIEF1dGhLZXkgaXMgVmVyeVZlcn..